Pepperl+Fuchs 산업용 이벤트 카메라 사용 설명서
이 문서는 Pepperl+Fuchs 산업용 이벤트 카메라의 설치, 운영 및 유지보수에 대한 실용적인 가이드입니다. 현장 엔지니어와 기술지원 담당자가 카메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세한 설정 및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합니다.
기술 지원 요청

1. 설치 및 초기 설정
1.1 하드웨어 설치
카메라는 진동이 없는 안정적인 표면에 견고하게 장착해야 합니다. 최적의 성능을 위해 권장 장착 높이 2~5m를 준수하고, 필요한 경우 진동 흡수 마운트를 사용하십시오. 전원은 카메라 사양에 맞는 DC 24V ±10%, 1.5A 이상의 안정적인 공급을 확인해야 합니다. 산업 표준 M12 커넥터 및 서지 보호 장치 사용을 권장합니다.
1.2 소프트웨어 및 드라이버 설치
카메라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해 Pepperl+Fuchs 제공 관리 소프트웨어 버전 2.1 이상을 사용하십시오. 이 소프트웨어는 Windows 10 (64비트) 이상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특정 그래픽 드라이버나 하드웨어 가속기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최신 드라이버 및 필요한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당사 기술 지원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1.3 기본 파라미터 설정
핵심 파라미터 설정 가이드:
  • 해상도: 1280x720 (HD) 권장, 최대 1920x1080 (FHD) 지원. 해상도가 높을수록 데이터 처리 부하와 네트워크 대역폭 요구량이 증가합니다.
  • 프레임 속도: 30fps (초당 프레임) 권장, 최대 60fps 설정 가능. 프레임 속도 증가는 실시간 감지에 유리하며, H.264/H.265 비디오 압축 코덱 사용 시 효율적입니다.
  • 트리거 모드: 기본값은 지능형 이벤트 감지입니다. 외부 센서 연동 시에는 외부 트리거 모드 (접점 신호, RS-485)를 사용하십시오. RS-485는 Modbus RTU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 감도 설정: 낮음, 중간, 높음 중 선택. 현장 조명 및 움직임 빈도에 따라 조절하며, 오탐지 시 감도를 낮추고 미탐지 시 높여서 최적화합니다.
2. 네트워크 설정 및 연결
2.1 IP 주소 설정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DHCP를 통해 IP 주소를 할당받습니다. 고정 IP 주소 설정이 필요한 경우, 관리 소프트웨어에서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십시오. 네트워크 내에서 고유한 IP 주소를 사용하여 충돌을 방지해야 합니다. IPv4 및 IPv6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합니다.
2.2 포트 및 프로토콜
본 카메라는 다양한 산업용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원활한 통신을 위해 다음 포트와 프로토콜이 허용되어야 합니다.
각 프로토콜은 데이터 무결성 및 전송 효율성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RTSP는 비디오 스트림 제어를, RTP는 실제 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담당합니다.
2.3 방화벽 설정 가이드
네트워크 방화벽에서 카메라와의 통신에 필요한 포트들을 Inbound/Outbound 규칙으로 허용해야 합니다. 특히 TCP 80, 443, 554UDP 50000-50100 범위의 포트 개방이 필수적입니다. 불필요한 포트는 닫아 보안을 강화하고, IP 필터링이나 MAC 주소 기반 필터링을 통해 특정 IP 주소에서의 접근만 허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3. 주요 기능 및 작동 원리
3.1 이벤트 감지 원리
Pepperl+Fuchs 이벤트 카메라는 픽셀 변화 감지움직임 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벤트를 감지합니다. 비디오 프레임 간의 픽셀 값 변화와 패턴을 분석하여 비정상적인 움직임이나 특정 객체(예: 누락된 부품)의 유무를 판단합니다. 임계값 설정은 감지 민감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GPU 기반 하드웨어 가속 모듈을 통해 실시간 분석 성능을 극대화합니다.
3.2 고급 분석 기능
  • 영역 침입 감지: 설정된 관심 영역(ROI)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을 감지합니다. ROI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정의 가능합니다.
  • 선 교차 감지: 가상 선을 통과하는 객체를 감지하여 카운팅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킵니다. 이동 방향 필터링 설정이 가능합니다.
  • 체류 시간 감지: 특정 영역 내에서 객체가 머무는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비정상적인 체류를 감지합니다. 최대/최소 체류 시간 설정으로 오탐지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객체 추적행동 인식 모듈을 통해 구현되며, 생산 라인 모니터링 및 품질 관리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4. 안전 주의사항 및 유지보수
1
4.1 안전 지침
  • 설치 및 유지보수 전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여 전기 충격 및 장비 손상을 방지하십시오.
  • 카메라는 습기, 먼지, 극심한 온도 변화가 없는 환경(-10°C ~ 50°C, 습도 10% ~ 90% 비응축)에 설치하십시오.
  • 렌즈 청소 시에는 부드러운 극세사 천과 전용 광학 세척액을 사용하고, 거친 물질로 닦지 마십시오.
  • 카메라 무단 개봉 및 수리는 제품 손상 및 보증 무효화를 초래합니다. 내부 부품은 정전기에 민감합니다.
2
4.2 정기 유지보수
  • 매월: 렌즈 및 하우징 외부를 청소하고 이물질 축적 여부를 확인하십시오.
  • 분기별: 케이블 연결 상태 및 고정 나사 조임을 점검하십시오. 모든 연결 부위의 물리적 손상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합니다.
  • 연간: 펌웨어 업데이트를 확인하고(권장 업데이트 주기: 6개월) 시스템 로그를 백업하십시오. 펌웨어 업데이트 시에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필수적입니다.
5. 성능 최적화 및 권장 설정
1
5.1 최적의 환경 조성
  • 조명: 균일하고 충분한 조명(최소 200 Lux 이상)을 확보하여 그림자나 과도한 반사를 피하십시오. 필요시 IR 조명, LED 패널 등 보조 조명을 고려하십시오.
  • 배경: 감지 대상과 배경 간의 명확한 대비를 유지하십시오. 복잡하거나 움직이는 배경은 오탐지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배경 제거 필터를 활용하여 노이즈를 줄이십시오.
2
5.2 권장 설정 값
  • 노출 시간(Exposure Time): 자동 노출 모드를 사용하되, 고속 이동체 감지 시에는 짧은 노출 시간(예: 1/1000초 이하)을 수동 설정하여 모션 블러를 줄이십시오.
  • ROI (관심 영역): 불필요한 영역을 감지 대상에서 제외하여 처리 부하를 줄이고 정확도를 높이십시오. ROI 설정은 CPU/GPU 리소스 사용량에 영향을 줍니다.
  • ROI 크기: 최소 20x20 픽셀 이상으로 설정하여 안정적인 객체 인식을 보장하십시오. 객체 크기가 작을수록 오탐지율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6. 호환성 정보 및 시스템 요구사항
6.1 호환 가능한 시스템 및 장비
본 카메라는 ONVIF Profile S/G/T 표준을 준수하여 다양한 VMS(Video Management System) 및 NVR(Network Video Recorder)과 연동 가능합니다. Modbus TCP를 통해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및 SCADA 시스템과 직접 통합될 수 있으며, Pepperl+Fuchs의 SmartBridge 모듈 및 OPC UA 기반 시스템과의 연동도 지원합니다.
6.2 최소 시스템 요구사항
  • 처리 장치: Intel Core i5 6세대 이상 또는 동급 AMD 프로세서 (AVX2 명령어 세트 지원 권장).
  • RAM: 8GB 이상 (비디오 스트림 처리 및 분석을 위해 16GB 이상 권장).
  • 저장 공간: 256GB SSD (최소 100GB 여유 공간).
  • 네트워크: 1Gbps 이더넷 포트 (PoE+ 지원 권장, IEEE 802.3af/at 표준).
7. 문제 해결 및 에러 코드

7.1 일반적인 문제 해결
  • 카메라 전원 문제: 전원 케이블 연결, 공급 장치 작동, 퓨즈 상태를 확인하십시오. 전원 LED 인디케이터 및 전압 측정을 통해 점검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연결 불안정: 이더넷 케이블 손상(Cat5e/Cat6 사용), 네트워크 장비 상태, IP 주소 충돌 여부를 확인하십시오. `ping` 테스트로 연결성을 검증하고, 네트워크 케이블 길이는 최대 100m를 권장합니다.
  • 영상 미표시: 비디오 스트림 포트 개방, 비디오 코덱 호환성(H.264/H.265 지원), VMS 설정을 확인하십시오. 카메라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영상 확인을 시도해 보십시오.
  • 이벤트 감지 미작동: 감지 영역, 감도 임계값, 조명 상태, 객체 크기가 최소 ROI 요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십시오. 분석 로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7.2 주요 에러 코드
0x001: 네트워크 연결 실패
IP 주소 설정, 케이블 연결, 방화벽 설정 등 물리적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우선 점검하십시오.
0x002: 스트림 초기화 실패
RTSP/RTP 포트 및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인하십시오. 방화벽에서 UDP 포트 범위가 열려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0x003: 펌웨어 손상
최신 펌웨어로 재설치해야 합니다. 펌웨어 다운로드 시 체크섬(checksum) 검증을 권장합니다.
0x004: 센서 오류
하드웨어 문제로 기술 지원이 필요합니다. 카메라 재부팅 후에도 지속되면 내부 센서 고장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0x005: 설정 값 범위 초과
매뉴얼의 파라미터 허용 범위를 확인하십시오. 설정 값이 하드웨어의 최대/최소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 발생합니다.
다른 에러 코드나 해결이 어려운 문제 발생 시, Pepperl+Fuchs 기술 지원팀으로 문의해 주십시오.
목차 - 산업용 이벤트 카메라 사용 설명서
1
네트워크 설정 및 연결
  • 카메라의 IP 주소 설정 (DHCP/자동 또는 고정 IP/수동)
  • 원활한 통신을 위한 필수 포트 및 프로토콜 (TCP/UDP, HTTP/HTTPS, RTSP)
  • 네트워크 보안을 고려한 방화벽 설정 가이드
  • IP 충돌 및 연결 불안정 등 일반적인 네트워크 문제 해결
  • 최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 팁
  • 시스템 요구사항 및 호환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
2
펌웨어 업데이트 및 관리
  • 최신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절차 (웹 UI, 전용 툴)
  • 펌웨어 버전별 주요 개선 사항 및 기능 변경 내역
  • 업데이트 실패 시 복구 방법 및 관련 에러 코드 설명
  • 보안, 성능 향상을 위한 펌웨어 업데이트의 중요성
  • 업데이트 전후 설정 백업 및 안전 주의사항
  • 하드웨어 모델별 호환 펌웨어 버전 정보
3
시스템 메뉴 및 고급 설정
  • 각 시스템 메뉴 항목의 정의 및 권장 설정값 (이벤트 로그, 사용자, 알림)
  • 정확한 시간 기록을 위한 카메라 로컬 시간 동기화 (NTP 서버 설정)
  • 시스템 안정성 진단을 위한 에러 로그 분석 및 모니터링
  • 최적의 시스템 상태 유지를 위한 정기 유지보수 가이드
  • 시스템 설정의 기술적 배경 및 작동 원리 이해
  • 공장 초기화 방법 및 적용 시나리오
4
디스플레이 및 이미지 최적화
  • 효율적인 감시를 위한 카메라 각도 및 PTZ 기능 설정
  • 선명한 영상 확보를 위한 포커스 조절 및 최적화 (자동/수동)
  • 이미지 품질 향상을 위한 주요 파라미터 조정 (밝기, 대비, 노출, 화이트 밸런스)
  • 특정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문제 해결 (역광 보정, 저조도 최적화)
  • 디스플레이 설정의 기술적 배경 및 이미지 처리 원리
  • 성능 최적화를 위한 해상도 및 프레임 속도 권장 설정
네트워크 설정
로컬 네트워크 카메라 IP 변경 (영상 가이드)
네트워크 설정은 카메라 운용의 필수 과정입니다. 올바른 IP 구성으로 카메라를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접근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영상 가이드를 통해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설정 방법을 단계별로 확인하고, 카메라가 네트워크 환경에 완벽하게 통합되도록 설정하세요.

참고: 카메라의 기본 IP 주소는 192.168.100.50입니다. 설치 전 반드시 네트워크 관리자와 협의하여 사용 가능한 IP 주소 범위를 확인하고 IP 충돌을 방지하세요.
1. 기술 사양 및 주요 파라미터
IP 주소 (IPv4)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 주소입니다.
- 사설 IP 범위: 10.0.0.0/8, 172.16.0.0/12, 192.168.0.0/16
- 주로 192.168.x.x 대역이 사용됩니다.
서브넷 마스크
IP 주소에서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며, 네트워크 크기를 정의합니다.
- 예: 255.255.255.0 (C-클래스 네트워크, /24 비트 프리픽스)
기본 게이트웨이
로컬 네트워크 외부(다른 네트워크)로 통신하기 위한 라우터의 IP 주소입니다.
- 예: 192.168.100.1
DNS 서버
도메인 이름(예: google.com)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 서버 접속을 돕습니다.
- 예: 8.8.8.8 (Google DNS) 또는 로컬 네트워크 DNS 서버 주소
포트 번호

네트워크 프로토콜
TCP/IP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기본 프로토콜 (패킷 교환 방식)
UDP
빠르고 효율적인 비연결성 데이터 전송 (실시간 스트리밍에 적합)
HTTP
웹 기반 설정 및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RTSP
실시간 스트리밍 제어 프로토콜
ONVIF
IP 기반 보안 장치 간 상호 운용성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
2. 작동 원리 및 기술적 배경
카메라의 IP 주소는 네트워크에서 카메라를 식별하는 고유한 논리적 주소입니다. 데이터는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패킷 형태로 전송되며, IP 주소는 패킷을 올바른 목적지(카메라)로 라우팅하는 역할을 합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를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어 동일 네트워크 내 통신과 외부 네트워크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게이트웨이는 로컬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며, DNS 서버는 사용자가 쉽게 기억하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 접속 편의성을 높입니다.
3. 문제 해결 가이드 및 에러 코드

네트워크 문제 해결 가이드
카메라가 네트워크에서 검색되지 않을 때
원인: IP 충돌, 잘못된 네트워크 설정, 케이블 불량, 방화벽 차단 등
해결 방법:
  1. 물리적 연결 확인: 카메라와 네트워크 장비(라우터/스위치) 간 LAN 케이블 연결 및 LED 점등 여부 확인
  1. IP 주소 확인: IP 스캐너 도구(예: Advanced IP Scanner)로 카메라의 IP 주소가 로컬 네트워크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
  1. IP 충돌 해결: 다른 장치와 IP 충돌이 없는지 확인 (ping test 또는 ARP 테이블 확인)
  1. 방화벽 설정 검토: 카메라 접속에 필요한 포트(80, 554 등)가 허용되었는지 확인
  1. 최후의 수단: 카메라 재부팅 또는 공장 초기화
웹 인터페이스 접속 불가 또는 영상 끊김 현상
원인: 포트 문제, 대역폭 부족, DNS 설정 오류, 브라우저 호환성 등
해결 방법:
  1. 포트 설정 확인: 사용 중인 포트 번호(포트 포워딩, 방화벽 규칙 등)가 올바른지 확인
  1. 네트워크 대역폭 확인: 특히 고해상도 스트리밍 시 네트워크 사용량이 충분한지 모니터링
  1. DNS 설정 확인: DNS 서버 주소가 올바른지 확인 (외부 도메인 접속 실패 시)
  1. 브라우저 점검: 다른 웹 브라우저(크롬, 엣지 등)로 접속 시도 및 브라우저 캐시 초기화
일반적인 네트워크 에러 코드
Destination Host Unreachable: 대상 IP 주소에 도달할 수 없음 (라우팅 또는 서브넷 구성 오류)
Request Timed Out: 지정된 시간 내 응답 없음 (네트워크 연결 끊김 또는 방화벽 문제)
IP Conflict Detected: 네트워크 내 다른 장치와 동일한 IP 주소 사용 중
4. 현장 시나리오 및 대응 방법
1
시나리오 1: 기존 네트워크의 IP 주소 대역 변경 필요
상황: 신규 현장의 IP 대역(예: 192.168.1.x)과 카메라 기본 IP 대역(예: 192.168.100.x)이 달라 카메라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대응: 카메라를 현장 네트워크와 동일한 IP 대역의 PC에 직접 연결하여 IP 주소를 변경합니다. PC의 네트워크 어댑터 IP를 카메라 IP 대역에 맞게 임시 설정 후 변경 작업을 진행합니다.
2
시나리오 2: 여러 대의 카메라 설치 및 관리
상황: 대규모 시스템 구축 시, 수십 대의 카메라를 효율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관리해야 하는 경우.
대응:
  1. IP 주소 계획: 사전에 각 카메라에 할당할 IP 주소 목록을 고정 IP로 계획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합니다.
  1. VLAN 구성: 관리형 스위치로 VLAN을 구성하여 트래픽을 분리하고 네트워크 성능 및 보안을 최적화합니다.
  1. 중앙 관리 소프트웨어 활용: ONVIF 또는 SNMP를 지원하는 VMS(Video Management Software)를 사용하여 카메라를 일괄 관리하고 모니터링합니다.
3
시나리오 3: 외부 네트워크에서 카메라 원격 모니터링
상황: 원격지에서 카메라 영상에 접근하여 모니터링해야 하는 경우.
대응:
  1. 포트 포워딩 설정: 라우터에서 카메라의 HTTP (80), RTSP (554) 포트를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포트 포워딩을 설정합니다.
  1. VPN 연결 우선 고려: 보안 강화를 위해 VPN을 통해 내부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접속 후 카메라에 접근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1. DDNS 서비스 사용: 유동 IP 환경에서 안정적인 외부 접속을 위해 DDNS (Dynamic DNS) 서비스를 활용합니다.
5. 방화벽 설정 가이드
네트워크 방화벽은 카메라의 보안을 유지하고 불필요한 접근을 차단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방화벽을 설정하세요.
인바운드 규칙 (Inbound Rules)
  • 필수 포트만 개방: 웹 인터페이스(HTTP 80), 스트리밍(RTSP 554), ONVIF(80, 8000 등) 등 카메라 운영에 필요한 TCP/UDP 포트만 허용합니다.
  • 소스 IP 제한: 가능하다면 특정 관리 PC 또는 허용된 네트워크 대역의 IP 주소(CIDR 표기법)에서만 카메라 포트 접근을 허용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
아웃바운드 규칙 (Outbound Rules)
  • 카메라가 외부 서버(NTP 서버, 클라우드 저장소, 펌웨어 업데이트 서버)와 통신해야 하는 경우, 해당 목적지 포트 및 IP 주소를 허용합니다.
네트워크 경계 방화벽
  • 기업 네트워크의 메인 방화벽에서 카메라 네트워크로의 접근 정책을 수립하고, 비인가 접근 시도에 대한 로깅 및 알림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6. 안전 수칙 및 유지보수 가이드라인
IP 주소 관리
네트워크 내 IP 중복 방지를 위해 IP 주소 할당을 체계적으로 문서화하고, DHCP 환경에서는 고정 IP 할당 또는 DHCP 예약 기능을 활용하여 항상 동일한 IP를 유지하세요.
정기적인 펌웨어 업데이트
보안 취약점 패치 및 기능 개선을 위해 제조사의 최신 펌웨어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비밀번호 관리
카메라 웹 인터페이스의 기본 비밀번호는 반드시 복잡하게 변경하고, 정기적으로 교체하여 무단 접근을 방지하세요.
물리적 보안
네트워크 케이블과 카메라가 물리적으로 훼손되거나 무단 접근되지 않도록 케이블 덕트 사용 및 잠금 장치 활용을 고려하세요.
7. 성능 최적화 팁 및 권장 설정
네트워크 분리
가능한 경우 감시 카메라 네트워크를 일반 업무 네트워크와 분리하여 트래픽 혼잡을 줄이고 보안을 강화하세요 (VLAN 사용 권장).
QoS (Quality of Service) 설정
네트워크 장비에서 카메라의 실시간 스트리밍 트래픽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영상 지연 및 끊김 현상을 최소화하세요.
적절한 비트레이트 설정
영상 품질과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량의 균형을 고려하여 카메라의 비트레이트를 설정하세요. 과도한 설정은 네트워크 부하와 저장 공간 낭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8. 호환성 정보 및 시스템 요구사항
1
네트워크 장비
표준 이더넷 (IEEE 802.3)을 지원하는 스위치 및 라우터와 호환됩니다. PoE (Power over Ethernet) 지원 여부에 따라 PoE 스위치 사용이 필요합니다.
2
전력 요구 사항
카메라 모델에 따른 전력 소비량 (예: DC 12V / 1A, PoE Class 3)을 충족하는 전원 공급 장치 또는 PoE 스위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3
NVR/VMS 시스템
ONVIF 프로필 S, G, T 등을 지원하는 NVR(Network Video Recorder) 또는 VMS(Video Management Software)와 호환되어 통합 및 관리가 용이합니다.
4
운영 체제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를 통한 접속 시 Windows, macOS, Linux 등 주요 운영 체제에서 지원되는 최신 웹 브라우저 (Chrome, Edge, Firefox 등) 사용을 권장합니다.
네트워크 설정
로컬 네트워크 카메라 IP 변경 가이드: 고정 IP 설정 및 문제 해결
이 가이드에서는 카메라와 PC를 직접 연결하여 카메라의 IP 주소를 로컬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변경하는 절차, 필요한 기술적 이해, 그리고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해결 방법을 상세히 다룹니다.
1. PC 고정 IP 설정 절차 (Windows)
카메라와 PC 간 직접 통신을 위해 PC의 네트워크 어댑터에 고정 IP 주소를 설정합니다. 이 과정은 카메라와 PC가 동일한 IP 대역에 속하도록 하여 직접 연결을 가능하게 합니다.
01
어댑터 옵션 진입
Windows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어댑터 설정 변경
02
네트워크 연결 선택
카메라와 연결할 유선 이더넷 어댑터를 우클릭 후 '속성' 선택
03
TCP/IPv4 속성
'Internet Protocol Version 4 (TCP/IPv4)' 선택 후 '속성' 클릭
04
고정 IP 주소 설정
'다음 IP 주소 사용' 옵션 선택 후 IP 정보 입력:
IP 주소: 192.168.100.1
(설명: 카메라 기본 IP 대역(192.168.100.x)과 동일하게 설정하되, 카메라 IP(192.168.100.50)와 충돌하지 않는 임의의 주소 사용. 예: 192.168.100.150)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설명: 클래스 C 네트워크의 표준 서브넷 마스크로, 동일 대역 내 장치들이 같은 네트워크에 있음을 나타냄)
기본 게이트웨이, DNS 서버: (설명: 카메라와 직접 연결 시에는 보통 필요 없으며, 비워두어도 무방합니다. 향후 네트워크 연결 시에는 적절한 값 입력)

예시) PC IP 주소: 192.168.100.150
(설명: 192.168.100.x 대역 내에서 192.168.100.50 과 겹치지 않는 유효한 주소 선택.
참고: PC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 화면에서 이더넷 어댑터 속성으로 진입합니다.
참고: 'Internet Protocol Version 4 (TCP/IPv4) 속성' 창에서 '다음 IP 주소 사용'을 선택 후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입력합니다.
참고: 설정 완료 후 '확인' 버튼을 눌러 변경 사항을 저장합니다.
2. 카메라 기본 네트워크 정보 (VOC*M-F256-B12-V1D-CR0*)
VOC*M-F256-B12-V1D-CR0* 카메라의 출고 시 기본 네트워크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IP 주소: 192.168.100.50
(카메라 초기 설정 IP. 로컬 네트워크 연결 전, 이 주소를 사용하여 카메라에 접근하고 원하는 IP 주소로 변경합니다.)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카메라의 서브넷 마스크는 PC의 서브넷 마스크와 동일해야 정상 통신이 가능합니다.)

안전 주의사항: 카메라와 PC를 직접 연결할 때는 반드시 카메라 전원을 먼저 차단하고, 연결 후 전원을 인가하십시오. PC에 연결된 다른 네트워크 케이블은 모두 분리하여 IP 충돌이나 예상치 못한 네트워크 문제를 방지합니다.
3. 기술적 배경 및 작동 원리
IP 주소 구성
IP 주소는 네트워크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 주소입니다. 192.168.100.50 와 같은 IPv4 주소는 네트워크 부분(예: 192.168.100)과 호스트 부분(예: 50)으로 나뉩니다.
서브넷 마스크 역할
서브넷 마스크(255.255.255.0)는 IP 주소에서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분을 구분합니다. 동일한 네트워크 주소를 가진 장치들만이 직접 통신할 수 있으므로, PC와 카메라의 네트워크 주소 부분이 일치해야 합니다.
직접 연결 목적
카메라의 기본 IP 주소가 현장 네트워크 환경과 다를 수 있습니다. PC와 카메라를 직접 연결하는 것은 다른 네트워크 장비 영향 없이 카메라에 접근하여 IP 주소를 현장 네트워크에 맞게 변경하기 위함입니다.
주요 프로토콜
TCP/IPv4 는 인터넷 통신 핵심 프로토콜입니다. 카메라는 주로 HTTP (웹 인터페이스), RTSP (영상 스트리밍), ONVIF (장치 관리) 등을 TCP/IP 기반으로 사용합니다.
4. 포트 번호, 프로토콜 및 방화벽 설정
카메라 통신에 필수적인 주요 포트와 프로토콜입니다. 필요시 방화벽 설정을 조정해야 합니다.

방화벽 설정 가이드: PC의 방화벽(Windows Defender 등)에서 카메라 IP 및 필요 포트(80, 554 등)에 대한 인바운드/아웃바운드 규칙을 허용해야 합니다. 초기 설정 시 방화벽을 잠시 비활성화하여 문제 원인을 파악한 후, 필요한 규칙만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일반적인 문제 해결 방법
네트워크 설정 과정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해결책입니다.

문제 1: 카메라에 연결 불가 (Ping 실패)
  • 원인: IP 충돌, IP 대역 불일치, 케이블 불량, 방화벽 차단, 카메라 전원 OFF.
  • 해결:
  1. PC 및 카메라 IP 주소 확인 (동일 대역, 다른 호스트 주소).
  1.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 확인 (CAT5e/CAT6 이상 권장).
  1. PC 방화벽 일시 비활성화 후 재시도.
  1. 카메라 전원 및 부팅 상태 확인.
  1. IP 충돌 확인: arp -a 명령어로 동일 IP 사용 장치 확인.

문제 2: 웹 브라우저에서 카메라 설정 페이지 접근 불가
  • 원인: 웹 포트(80) 차단, 카메라 웹 서버 문제, 브라우저 호환성.
  • 해결:
  1. 방화벽 80번 포트 허용 확인.
  1. 카메라 전원 재인가.
  1. 다른 웹 브라우저(Chrome, Firefox 등) 사용 시도.
  1. 카메라 검색 툴(IP Scanner 등)로 카메라 존재 여부 확인.

문제 3: IP 주소 변경 후 카메라 접속 불가
  • 원인: 변경된 IP 주소 미인식, IP 주소 오설정.
  • 해결:
  1. PC IP 주소를 변경된 카메라 IP 대역에 맞게 재설정.
  1. 카메라 재부팅하여 변경된 IP 적용 확인.
  1. IP 주소를 잊은 경우, 카메라 초기화 버튼 또는 제조사 복구 툴 사용.
6. 현장 시나리오 및 대응 방법
1
상황 1: 현장 네트워크에 DHCP 서버가 없는 경우
(설명: 산업 현장은 보안/안정성을 위해 DHCP 서버 없이 고정 IP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대응: PC IP를 현장 관리자가 지정한 대역에 맞춰 설정하고, 카메라 IP를 해당 대역의 사용 가능한 IP로 변경합니다. 게이트웨이 및 DNS 정보도 정확히 입력해야 합니다.
2
상황 2: IP 주소 변경 후 IP 충돌 발생
(설명: 변경하려는 IP 주소가 이미 다른 장치에 할당된 경우.)
대응: 네트워크 스캐너 툴(예: Advanced IP Scanner)로 현장 네트워크 내 사용 가능한 IP를 확인 후 카메라 IP를 설정합니다. 네트워크 관리자와 협의하여 IP를 할당받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3
상황 3: 장거리 케이블링으로 인한 통신 불량
(설명: 이더넷 케이블 최대 유효 길이 초과 또는 불량 케이블 사용 시 통신 불안정.)
대응: 이더넷 케이블 길이 확인(100m 이내 권장). 필요시 PoE 스위치나 리피터를 사용하여 신호 감쇠를 보완합니다. 외부 노이즈 영향을 줄이기 위해 STP 케이블 사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7. 성능 최적화 팁 및 권장 설정값
네트워크 대역폭 관리
고해상도 카메라 사용 시 대역폭 부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 QoS 설정으로 영상 스트림 트래픽 우선순위를 높이거나, VLAN 구성으로 트래픽을 분리하여 네트워크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프레임/비트레이트 조정
카메라 설정에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PS)와 비트레이트(Mbps)를 현장 환경에 맞게 최적화합니다. 과도한 설정은 네트워크 부하 증가 및 저장 공간 낭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펌웨어 최신 유지
카메라 펌웨어는 성능 개선, 보안 패치, 버그 수정 등을 포함합니다. 제조사 웹사이트에서 최신 펌웨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업데이트하십시오.
8. 호환성 및 시스템 요구사항
운영체제
PC 고정 IP 설정은 Windows 7/8/10/11 환경에서 유사합니다. Linux, macOS 등은 설정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선 이더넷(RJ-45) 포트가 필수적이며, 고해상도 영상 전송을 위해 기가비트 이더넷(1000BASE-T) 어댑터를 권장합니다.
웹 브라우저
카메라 웹 인터페이스 접근을 위해 최신 Chrome, Firefox, Edge 브라우저 사용을 권장합니다. 일부 구형 카메라는 Internet Explorer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VMS/NVR 호환성
VOC 카메라의 ONVIF Profile S/G/T 호환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 중인 VMS(예: Milestone, Genetec) 또는 NVR(Network Video Recorder)과의 연동을 보장합니다.
네트워크 설정
로컬 네트워크에 맞는 카메라 IP 변경 - 3단계: 필수 네트워크 설정
IP 주소 설정
카메라의 IP 주소를 사용자 로컬 네트워크의 IP 대역에 맞게 변경합니다. 일반적으로 IP 주소는 32비트 숫자로,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네트워크 내에서 고유하며 다른 장비와 충돌하지 않아야 합니다. (예: 192.168.0.X 또는 10.0.0.X)

추천 설정값: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할당받은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거나, DHCP 범위 밖의 주소를 지정하여 충돌을 피하십시오.

문제 해결: IP 충돌 시 카메라 접근이 불가능합니다. IP 스캐너를 사용하여 사용 가능한 주소를 확인 후 재설정하거나, 초기화 버튼으로 기본 IP로 되돌리십시오.
서브넷 마스크 설정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는 서브넷 마스크를 입력합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특정 IP 대역을 논리적으로 분할하는 역할 을 하며, 카메라가 연결될 네트워크의 서브넷 마스크와 일치해야 통신이 가능합니다.
  • Class C 네트워크 (소규모): 255.255.255.0 (/24)
  • Class B 네트워크 (중규모): 255.255.0.0 (/16)
  • Class A 네트워크 (대규모): 255.0.0.0 (/8)

적용 가이드: 네트워크의 크기와 IP 할당 정책에 따라 적절한 마스크를 선택하며, 불일치 시 통신 불가 문제가 발생합니다.
게이트웨이 설정
서로 다른 네트워크(예: 내부망과 인터넷) 간 통신을 위한 라우터의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카메라가 외부 네트워크 서버나 NVR과 통신해야 할 경우 필수입니다. 게이트웨이는 일반적으로 라우터의 LAN 인터페이스 IP 주소를 사용합니다.
주요 포트 정보:

문제 해결: 게이트웨이 미설정 또는 오류 시 외부 통신이 불가능합니다. 핑 테스트(ping test)로 게이트웨이 도달 여부를 확인하십시오.
DNS 서버 설정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DNS(Domain Name System) 서버 주소를 입력합니다. 카메라가 DDNS, NTP, 메일 등 외부 서비스를 이용할 때 필수입니다. 이는 사람이 이해하는 도메인 이름을 컴퓨터가 사용하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핵심 서비스입니다.

추천 설정값: 내부 DNS 서버가 없다면 Google DNS(8.8.8.8, 8.8.4.4) 또는 통신사 DNS를 사용하십시오.
DHCP 서버 설정
네트워크에 DHCP 서버가 있고, 카메라가 자동으로 IP를 할당받으려면 이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활성화 시 고정 IP 설정은 무시됩니다. 이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장치 설정 자동화로 관리 부담을 줄여줍니다.

작동 원리: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서버 등 TCP/IP 설정을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주의사항: DHCP 환경에서는 카메라 IP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접근을 위해 예약 IP 할당 기능을 사용하거나 DHCP 범위 밖의 고정 IP를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NTP 서버 설정
네트워크 내 장치 시간을 정확하게 동기화하는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 주소를 입력합니다. 정확한 시간 동기화는 로그 기록, 영상 타임스탬프 등 자료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NTP는 UDP 123 포트를 사용하여 시간 동기화 요청을 주고받습니다.

추천 설정값: time.bora.net 또는 time.windows.com 등 공용 NTP 서버를 사용하거나, 내부 네트워크 NTP 서버 IP를 입력합니다. 포트는 기본적으로 UDP 123 을 사용합니다.
시간대 설정
시간대는 반드시 Asia/Seoul 로 설정합니다. 이는 한국 표준시(KST, UTC+9)에 맞춰 카메라 내부 시간을 설정하여, 기록되는 영상 및 로그의 타임스탬프가 현지 시간과 일치하도록 보장합니다. 올바른 시간대 설정은 데이터 일관성과 분석 용이성을 보장합니다.

유지보수 가이드: 일광 절약 시간제(Daylight Saving Time)는 한국에 적용되지 않으므로 추가 조정은 불필요합니다. 정기적으로 시간 오차를 점검하십시오.

핵심 용어 정의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32비트 숫자입니다. 데이터 전송 범위를 결정하며,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분리하는 역할 을 합니다.
게이트웨이 (Gateway):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패킷이 이동하는 통로(라우터)입니다. 패킷이 외부로 향할 때 첫 번째로 도달하는 라우터 인터페이스의 IP 주소입니다. 기본 게이트웨이 로도 불립니다.
DNS (Domain Name System): 사람이 읽기 쉬운 도메인 이름(예: www.example.com)을 컴퓨터가 이해하는 숫자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입니다. 인터넷의 주소록 서비스 와 유사합니다.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네트워크 장치에 IP 주소 및 기타 TCP/IP 설정을 자동으로 할당하여 관리 효율성을 높이고 IP 충돌을 방지하는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 작동합니다.
NTP 서버 (Network Time Protocol Server): 네트워크 장치 시간을 UTC 기준으로 정밀하게 동기화합니다. 데이터 무결성과 로그 분석의 정확성을 보장하며, 수 밀리초 단위의 정확도 를 제공합니다.
방화벽 설정 가이드: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특정 통신을 차단하는 시스템입니다. 카메라 접근 및 스트리밍을 위해 필요한 포트(예: HTTP 80, RTSP 554, ONVIF 8000)는 방화벽에서 예외 처리 되어야 합니다.
카메라 시스템 메뉴 상세 가이드
현장 엔지니어를 위한 설정 및 문제 해결
본 섹션에서는 카메라 시스템 메뉴의 각 항목에 대한 상세 정의, 기술 사양, 작동 원리, 그리고 현장 엔지니어가 알아야 할 실용적인 정보들을 제공합니다. 정확한 설정과 문제 해결을 위한 필수 지침들을 숙지하여 효율적인 시스템 관리가 가능하도록 돕습니다.
카메라 기본 정보
시스템 상태 정보
저장 장치 정보

주요 문제 해결 가이드
오프라인 상태 (Error Code: 0x01)
증상: 카메라가 네트워크에서 검색되지 않거나 연결이 끊어짐.
주요 원인: 네트워크 케이블 문제, IP 주소 충돌, 방화벽, 전원 불안정, 펌웨어 오류.
해결 방법:
  1. 네트워크 케이블 및 전원 연결 확인 (PoE 인젝터/스위치 상태 점검).
  1. 카메라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재확인 (ping 테스트 및 ARP 캐시 확인).
  1. 네트워크 스위치/라우터 포트 상태 확인 (포트 링크/활동 LED 확인).
  1. 방화벽 설정에서 카메라 포트 허용 여부 확인 (HTTP 80, RTSP 554 등).
  1. 카메라 재부팅. 문제 지속 시 펌웨어 재설치 또는 초기화 고려 (초기화 전 설정 백업 필수).
녹화 실패 (Error Code: 0x03)
증상: 영상이 저장 장치에 녹화되지 않거나 파일이 손상됨.
주요 원인: 저장 장치 공간 부족/오류, 파일 시스템 손상, 녹화 설정 오류, 전원 불안정.
해결 방법:
  1. 저장 장치 사용 가능 용량 확인 및 불필요 파일 삭제 (오버라이트 설정 확인).
  1. 저장 장치 포맷 (데이터 손실 주의, 권장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
  1. 저장 장치 교체 고려 (카메라 제조사 권장 사양 확인).
  1. 녹화 설정(일정, 해상도, 프레임) 재확인 (스트림 프로파일 설정 최적화).
  1. 전원 안정성 확보 (UPS 사용 권장, 정전 및 전압 변동 대비).
과열 경고 (Error Code: 0x05)
증상: 카메라 온도가 권장 범위를 초과하여 경고 발생.
주요 원인: 직사광선 노출, 밀폐된 공간, 환기 불량, 과도한 작업 부하, 내부 부품 이상.
해결 방법:
  1. 카메라 설치 위치 재조정 (그늘지고 통풍이 잘 되는 곳, 에어플로우 확보).
  1. 냉각팬 또는 추가적인 냉각 장치 설치 고려 (패시브/액티브 쿨링 솔루션).
  1. 작업 부하 조절 (해상도/프레임 낮추기, 스트림 설정 최적화).
  1. 먼지 제거 등 주기적인 유지보수 (방열판 및 통풍구 청소).
네트워크 설정 상세 가이드
IP 주소 설정 (IPv4)
카메라의 IP 주소는 DHCP로 자동 할당받거나, 수동으로 고정 IP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고정 IP를 권장합니다.
  • IP 주소: 네트워크 내 고유 주소 (예: 192.168.1.100). RFC 1918 사설 IP 대역 활용.
  •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범위 정의 (예: 255.255.255.0).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법 가능.
  • 기본 게이트웨이: 외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라우터 주소. 패킷 포워딩 경로 지정.
  • DNS 서버: 도메인 이름 해석을 위한 서버 주소.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 해석에 사용.
포트 번호 및 프로토콜 세부사항
카메라와 외부 시스템 간 통신에 사용되는 주요 포트 및 프로토콜입니다.
방화벽 설정 가이드
카메라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방화벽에서 필수 포트를 개방해야 합니다.
  • 카메라 IP 주소에 대한 인바운드/아웃바운드 규칙 설정. ACL(Access Control List) 정의.
  • 위에서 언급된 주요 포트(80, 554, 123, 161 등)에 대한 허용 규칙 추가. STATEFUL/STATELESS 방화벽 규칙 적용.
  • NVR, VMS, 클라이언트 PC 등 연동 장치의 IP 주소를 화이트리스트에 추가. Source/Destination IP 필터링 활용.
  • 보안 강화를 위해 불필요한 포트는 닫고, 특정 IP 주소/대역만 허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Least Privilege 원칙 적용.
안전 주의사항 및 유지보수 가이드라인
설치 안전
카메라 설치 시 낙하 위험 방지, 적절한 전압 확인, 접지 연결 등 기본적인 전기 안전 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낙뢰 보호 장치 설치를 권장합니다. (IEC 62305 표준 참조)
정기 점검
렌즈 청소, 케이블 연결 상태 확인, 방수/방진 실링 점검, 펌웨어 업데이트 확인 등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특히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는 내부 팬 및 방열판 청소도 고려해야 합니다. (IP 등급 유지 확인)
전원 관리
펌웨어 업데이트 중 전원 공급 중단은 카메라 손상의 주요 원인입니다. 업데이트 시 반드시 안정적인 전원 공급(UPS 등)을 확보하십시오. 온도 조건에 따른 히터 작동 여부도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전원 품질 모니터링)
성능 최적화 팁 및 권장 설정값
1
스트림 최적화
네트워크 대역폭과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비트레이트 설정을 환경에 맞게 조정합니다.
  • 권장 설정: 풀 HD (1920x1080) @ 20fps, H.264 High Profile, VBR.
  • 움직임이 적은 환경에서는 프레임 레이트를 낮춰 대역폭 절약 가능 (CBR 모드 고려).
  • 야간/저조도 환경에서는 노이즈 감소를 위해 비트레이트 증가 고려 (Adaptive Bit Rate 활용).
2
이벤트/알람 설정
불필요한 녹화 및 알람을 줄여 시스템 부하를 경감하고, 저장 공간을 최적화합니다.
  • 움직임 감지 영역을 필요한 부분만 설정 (ROI(Region of Interest) 설정).
  • 감도 조절을 통해 오작동 최소화 (노이즈 필터링 적용).
  • 일정 시간 동안만 이벤트 감지 활성화 (스케줄 기반 활성화).
3
저장 장치 관리
저장 장치의 수명 연장 및 안정적인 녹화를 위해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 정기적인 저장 장치 상태 확인 (웨어 레벨링(Wear Leveling) 확인).
  • 스케줄링된 자동 포맷 기능 활용 (필요 시, 파일 시스템 파편화 방지).
  • 고품질 산업용 저장 장치 사용 권장 (연속 쓰기 성능 및 내구성 중요).
호환성 정보 및 시스템 요구사항
소프트웨어 호환성
하드웨어 요구사항
시스템 메뉴 정의
카메라 시간 동기화 가이드
카메라의 정확한 시간은 녹화 영상의 타임스탬프, 로그 기록, 이벤트 트리거 등에 필수적입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로컬 PC 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하거나 NTP 서버를 활용하여 카메라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1. 로컬 PC 시간으로 동기화
인터넷 연결이 어렵거나 임시적인 시간 보정이 필요할 때, 현재 접속 중인 PC의 시간을 카메라에 동기화합니다.
'시간 동기화' 버튼 클릭
카메라 웹 인터페이스의 시스템 정보 화면에서 '시간 동기화' (또는 'Sync time') 버튼을 클릭합니다.
'동기화 실행' 버튼 클릭
팝업 창에서 '동기화 실행' (또는 'Synchronize Time') 버튼을 눌러 현재 PC의 시간을 카메라로 전송합니다. 이 과정은 주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수 밀리초 내외의 정확도를 제공합니다.
시간 동기화 확인
동기화 완료 후, 카메라의 '현재 시간'이 PC 시간과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불일치 시 PC 시간 정확도, 네트워크 지연, 브라우저 캐시를 확인하고 페이지를 새로고침(F5)합니다.
2. NTP 서버를 통한 시간 동기화 (권장)
지속적인 시간 정확도와 안정적인 동기화를 위해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 설정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NTP 설정 방법
  • NTP 프로토콜: UDP/Port 123 사용
  • 설정: 네트워크 설정에서 NTP 서버 주소 (예: time.windows.com 또는 사설 NTP 서버 IP)를 입력하고 동기화 주기를 설정합니다.
  • 방화벽: 카메라가 NTP 서버와 통신하려면 방화벽에서 UDP 123번 포트 아웃바운드 트래픽을 허용해야 합니다. 보안상 사설 네트워크 내 NTP 서버 사용이 유리합니다.
  • 재활성화: NTP 서버 변경 후 즉시 동기화하거나, 시간 오차 지속 시 '재활성화' 버튼을 사용합니다.
타임존 설정
네트워크 설정의 '타임존' 메뉴에서 반드시 Asia/Seoul (UTC+9) 또는 해당 지역에 맞는 타임존을 설정하고 '적용'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타임존 설정은 영상 타임스탬프와 이벤트 기록의 일관성을 보장하며, NTP 사용 시에도 필수입니다.
주의: 카메라 리셋 시 모든 설정값(시간 포함)이 초기화되므로, 리셋 후에는 시간 및 타임존 설정을 다시 진행해야 합니다.

문제 해결: 시간 동기화 오류
  • 오류 원인: 클라이언트 PC의 시간 부정확, 네트워크 지연, 브라우저 캐시 문제, 네트워크 연결 불량, 방화벽 차단, 권한 부족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해결책:
  1. PC 시스템 시간의 정확성을 확인하고 수정합니다.
  1.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점검하고, 방화벽에서 UDP 123 포트(NTP) 또는 웹 인터페이스 포트(HTTP 80/8080)가 허용되었는지 확인합니다.
  1. 브라우저 캐시를 삭제하고 페이지를 새로고침(F5)합니다.
  1. 지속적인 문제 발생 시, 카메라를 재부팅하거나 펌웨어 업데이트를 고려합니다.
유지보수 및 성능 최적화
내부 배터리 점검
카메라 내부 배터리(RTC 배터리)는 전원 차단 시 시간 정보를 유지합니다. 장기간 전원 공급이 없거나 시간 오차가 잦을 경우, 배터리 수명(일반적으로 5~10년)을 점검하고 필요시 교체해야 합니다.
동기화 주기 설정
NTP 동기화 주기를 너무 짧게 설정하면 네트워크 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1시간 또는 24시간 주기가 일반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공용 NTP 서버 (예: pool.ntp.org)나 로컬 네트워크 내 자체 NTP 서버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호환성 정보: 이 시간 동기화 기능은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 (Chrome, Firefox, Edge 등) 및 운영체제 (Windows, macOS, Linux)와 호환됩니다. 정상 작동을 위해 브라우저의 자바스크립트가 활성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디스플레이 설정
기본 메뉴 및 카메라 각도 설정
카메라 이름 및 초점 설정
카메라 이름 변경
카메라를 식별할 고유한 이름을 설정합니다. 이 이름은 네트워크에서 카메라를 구분하는 데 사용됩니다.

설정 규격: 특수 기호(!, @, #, $, %, ^, &, *, (, ))는 사용할 수 없으며, 영문, 숫자, 한글 조합으로 최대 32자까지 설정 가능합니다.
이름 변경 후에는 시스템 재부팅이 필요하며, 변경된 이름은 DHCP 환경에서 호스트명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 이름 변경 오류
변경이 적용되지 않으면, 특수 문자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카메라 펌웨어 버전을 점검하십시오. 일부 구형 펌웨어는 특정 문자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카메라 초점 변경
영상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카메라 초점을 조정합니다. 초점은 이미지의 선명도와 깊이감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렌즈 종류(가변/고정 초점)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 초점 모드를 지원합니다.

최적화 팁: 설치 환경(피사체 거리, 조명)에 맞춰 시험 촬영을 통해 최적의 초점 값을 찾는 것을 권장합니다. 특히 저조도 환경에서는 수동 초점 조절이 유리합니다. 렌즈의 조리개(Aperture) 값과 피사계 심도(Depth of Field)를 고려하여 설정하십시오.

문제 해결: 흐릿한 영상
영상이 흐릿하면 렌즈 초점링을 미세하게 조절하거나 자동 초점 기능을 재활성화하십시오. 렌즈에 이물질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히터 기능 설정
혹독한 외부 환경에서 카메라 내부 결로 및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내장 히터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Low (-10°C)
-10°C 이하에서 작동 시작. 최소 전력으로 미미한 결로 방지에 적합합니다.
MID (-20°C)
-20°C 이하에서 작동 시작. 일반적인 결로 및 경미한 동결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HIGH (-30°C)
-30°C 이하에서 작동 시작. 극한 환경에서 강력한 결로 및 동결 방지를 제공합니다.
히터는 -30°C 이하 저온에서 자동으로 작동하며, 카메라 내부 온도가 50°C ± 2.5°C 초과 시 자동으로 종료(Shut-off)되어 과열을 방지합니다.

작동 원리 및 안전
히터는 내부 온도 센서로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임계값 이하 시 자동 활성화됩니다. 이는 카메라의 수명을 연장하고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합니다.
안전 주의사항: 히터 작동 중 카메라 외함이 뜨거워질 수 있으니 직접 만지지 마십시오.
모든 설정 적용 후에는 카메라 전원을 재시작(Reboot)해야 변경 사항이 완전히 적용됩니다.

유지보수 팁
히터 작동 여부를 정기적으로 확인하십시오. 특히 겨울철이나 저온 환경 노출 전 점검이 필수입니다. 히터 고장 시 IR 필터나 렌즈에 습기가 차 영상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카메라 각도 설정
0° (기본)
90° 회전
180° 회전
270° 회전
카메라 설치 방향에 따라 영상 출력 각도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조정합니다. 이는 물리적 재설치 없이 영상 방향을 맞출 때 유용합니다. 각도 변경 시 영상 처리 과정에서 미세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장 적용 사례
카메라가 천장에 거꾸로 설치되었거나, 세로로 긴 통로를 감시할 때 이 기능을 활용하여 영상 방향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성능 및 호환성
비디오 분석(VCA)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각도 회전으로 인해 분석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으니 가능하면 물리적 각도 조절을 권장합니다. 이 기능은 GPU/CPU 리소스를 사용하여 시스템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설정
카메라 이름 표시 (OSD)
영상 오버레이(OSD)에 설정된 카메라 이름을 표시합니다. 다수의 카메라 모니터링 시 각 카메라를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폰트 크기 및 색상 조정은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 표시 (OSD)
영상에 현재 날짜와 시간을 표시합니다. 이 정보는 녹화 영상의 시간적 증거로 활용되며, 동기화된 시스템 시간(NTP)을 기반으로 합니다.
UDP 포트를 통한 OSD 이름 설정 (고급)
UDP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으로 카메라의 OSD 이름을 제어하는 고급 설정입니다.

네트워크 설정 가이드
UDP 포트 변경 시, 해당 포트가 방화벽(Firewall)에서 허용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필요시 네트워크 관리자와 협의하여 방화벽 규칙을 추가하십시오.
흑백 반전 표시 (OSD)
OSD 텍스트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텍스트 배경을 검정색, 글씨를 흰색으로 설정합니다. 저조도 환경에서 특히 유용합니다.

시스템 호환성
이 디스플레이 설정은 ONVIF Profile S 및 G와 호환되며, 대부분의 VMS(Video Management System)에서 정상적으로 연동됩니다. ONVIF 표준은 카메라 장치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며, VMS는 카메라 OSD 설정을 원격으로 구성하는 API를 제공합니다. 시스템 요구사항으로는 이더넷 연결 및 호환 가능한 웹 브라우저가 필요합니다.
디스플레이 설정
포커스 조절 방법
1단계: 포커스 조절
마우스를 이용해 슬라이더를 드래그하며 초점을 수동으로 조절합니다. 화면을 보면서 가장 선명한 화질이 될 때까지 맞추세요.
  • 정밀 조절: 0.1mm 단위
  • 조절 범위: 5mm ~ 50mm
수동 조절은 특정 거리의 피사체에 최적화된 심도를 확보하는 데 유용합니다.

현장 팁: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실제 거리를 측정하여 초기값을 설정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예: 2m 거리 컨베이어 벨트 모니터링 시, 2m에 해당하는 값으로 포커스 조절 후 미세 조정) 조명 변화가 잦은 환경에서는 주/야간 모드에서 모두 테스트하여 최적의 값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2단계: 설정 적용
원하는 초점 설정 후 적용 버튼을 눌러 변경 사항을 임시 메모리에 저장합니다. 이 과정에서 카메라의 렌즈 구동 모터가 물리적으로 렌즈 위치를 이동시키며, 약 1~2초가 소요됩니다.

문제 해결:
적용 실패 시 통신 상태를 확인하거나 카메라를 재부팅하십시오. 간헐적 통신 지연이나 펌웨어 버전 불일치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예시 에러 코드: E01: 통신 오류, E02: 렌즈 구동 실패, E03: 펌웨어 버전 불일치)
3단계: 저장 및 재시작
모든 설정 완료 후 저장 버튼을 눌러 카메라를 재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변경 사항이 비휘발성 메모리(NVRAM)에 영구적으로 저장됩니다. 약 10~15초 소요되며, 이 동안 영상 출력이 일시 중단됩니다.

안전 주의사항:
재시작 중에는 절대 전원을 차단하지 마십시오. 데이터 손상이나 펌웨어 오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설정 적용 확인은 카메라 상태 LED(녹색) 점등으로 확인하십시오.

성능 최적화 팁:
여러 카메라의 초점 조절 시, 각 카메라 적용 후 개별 저장보다는 모든 카메라의 초점 조절을 마친 뒤 일괄 저장 및 재시작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이는 현장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기술 사양 및 시스템 요구사항:
최적의 초점 조절을 위해 카메라가 설치될 최종 위치에서 실제 모니터링 대상을 보면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간/야간 모드 테스트를 통해 일관된 화질을 유지하도록 조정하세요.
스트리밍 설정
기본 설정 가이드
Live 스트리밍 해상도 최적화
스트리밍 해상도는 영상 품질과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카메라 시스템의 처리 부하와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하여 적합한 해상도를 선택해야 합니다.
10~15fps

기술 설명: 해상도는 가로/세로 픽셀 수를 의미하며, 영상의 정보량과 선명도를 결정합니다. 해상도가 높을수록 선명하지만, 처리할 데이터 양이 많아져 카메라 프로세서 사용률과 네트워크 대역폭 소비가 증가합니다. 고해상도는 더 높은 압축률과 비트레이트를 요구합니다.

성능 한계 및 최적화 팁
RTSP는 카메라의 계산 능력을 공유합니다. 특히 1920x1080 (FHD) 해상도로 녹화 시 높은 처리 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라이브 뷰 프레임 속도 저하: 5fps 이하로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성능 문제 발생 시: RTSP 스트림 비활성화를 권장합니다. 과부하 상태는 카메라 재부팅 및 응답 없음 현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동시 스트림 제한: 한 번에 하나의 녹화만 실행 가능합니다.
  • 시야 감소 (크롭): 센서 제한으로 인해 시야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성능 최적화 팁:
  • 최고 해상도 사용 시, 프레임 속도(FPS)를 낮춰 카메라 부하를 줄이세요 (예: 30fps 대신 15fps).
  • 비트레이트를 조절하여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량을 최적화하세요 (낮은 비트레이트는 영상 품질 저하 가능성 있음).
  • 카메라 주변 온도가 높거나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는 성능 저하가 가속화될 수 있으니 주의하십시오.
운영 한계는 시스템에 의해 자동 적용됩니다. 제조업체가 테스트한 시스템 한계 밖에서 사용 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제조업체의 지원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 가이드 및 일반적인 에러 코드
낮은 프레임 속도/지연
원인: 네트워크 대역폭 부족, 카메라 CPU 과부하, 부적절한 해상도/비트레이트 설정, H.264/H.265 디코딩 능력 부족.
해결: '성능 최적화 팁'을 참조하여 설정을 조정하거나, 네트워크 환경 및 디코딩 장비 성능을 점검하세요.
스트림 끊김/연결 불가
원인: 네트워크 연결 불안정, 방화벽 설정 문제, RTSP 포트(기본 554) 충돌, 인증 오류, UDP vs TCP 스트리밍 방식 고려 부족.
해결: 카메라 IP 주소 및 네트워크 케이블 점검, 방화벽에서 포트 554 및 RTP 포트 허용, 사용자 이름/비밀번호 재확인.
시야 감소/화면 크롭
원인: 특정 고해상도(예: 1920x1080) 설정 시 센서 제약 또는 칩셋 하드웨어 제한으로 인한 의도된 동작.
해결: 제품 사양에 명시된 정상 동작입니다. 전체 시야가 필요하면 다른 해상도 옵션을 고려해야 합니다.
에러 코드 (예: 401 Unauthorized): RTSP 클라이언트 인증 정보 오류 또는 세션 토큰 만료.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다시 확인하세요.
에러 코드 (예: 503 Service Unavailable): 카메라 과부하 또는 RTSP 서버 비활성화. 카메라를 재부팅하거나 스트리밍 설정을 확인하세요. 과도한 동시 연결 시도도 원인입니다.

네트워크 설정 필수 가이드라인

유지보수 및 안전 주의사항
펌웨어 업데이트: 항상 최신 펌웨어 버전을 유지하여 보안 취약점을 보완하고 성능을 최적화하세요. 정기적인 업데이트 확인이 필수입니다.
렌즈/센서 청소: 정기적으로 부드러운 천으로 렌즈와 센서를 청소하여 깨끗한 영상 품질을 유지하세요. 강한 용액 사용은 피해야 합니다.
네트워크 변경 확인: 네트워크 환경 변경 시 스트리밍 설정이 올바른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IP 주소 충돌이나 서브넷 마스크 오류에 유의하십시오.
강력한 비밀번호: 무단 접근 방지를 위해 강력한 비밀번호(12자 이상, 대소문자/숫자/특수문자 혼합)를 사용하고 주기적으로 변경하세요.
설정 후 재시작: 설정 변경 후에는 항상 카메라를 재시작하여 변경 사항 적용 여부를 확인하고, 재부팅 후 시스템 로그를 검증하세요.
모바일 원격 접속 및 관리
카메라 설정 및 관리 상세 가이드
1. 웹 브라우저로 접속
모바일 기기의 웹 브라우저(Chrome, Safari 등)에서 카메라의 고정 IP 주소 또는 DDNS 주소를 입력합니다. 기본 HTTP 포트(80) 외 다른 포트를 사용한다면 IP주소:포트번호 형식으로 입력하세요 (예: 192.168.1.100:8080). 로그인 페이지가 뜨면 관리자 계정으로 접속합니다.
2. 스트림 설정 변경
접속 후 모바일 최적화된 메인 화면에서 설정 메뉴(보통 ≡ 또는 ⚙️ 아이콘)를 탭합니다. 여기서 영상 스트림, 해상도, 프레임 속도(FPS), 비트레이트(Kbps)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권장 설정:
  • 주 스트림 (Main Stream): H.264/H.265 코덱, 1920x1080(FHD) 해상도, 15-20FPS, 2048-4096Kbps. (H.265 코덱은 H.264보다 압축 효율이 좋습니다.)
  • 보조 스트림 (Sub Stream): 모바일 환경에 맞춰 640x480 등 낮은 해상도와 비트레이트로 설정하여 데이터 사용량을 줄입니다.
3. 펌웨어 무선 업데이트 (OTA)
모바일 기기에서도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설정 메뉴의 '시스템' >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OTA(무선) 방식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안정적인 Wi-Fi 환경에서 진행하며, 업데이트 중에는 전원을 절대 끄지 마십시오. 최신 펌웨어는 성능 개선, 보안 강화, 기능 추가 등 중요합니다.

모바일 접속 문제 해결 가이드
  • 접속 불가 (ERR_CONNECTION_REFUSED):
    카메라 IP 주소나 포트 번호가 틀렸거나, 카메라가 꺼져있을 수 있습니다. IP 스캐너로 카메라를 찾거나 전원을 재인가해보세요. ARP 캐시를 확인하여 IP 충돌 여부도 진단할 수 있습니다.
  • 로그인 오류 (Error Code 401):
    사용자 이름이나 비밀번호가 잘못되었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비밀번호를 초기화하세요.
  • 느린 로딩 / 스트림 끊김: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Wi-Fi/LTE 신호)을 확인하고, 카메라의 스트림 해상도나 비트레이트를 낮춰보세요. 패킷 손실이 심하거나 지연 시간이 길 때 발생합니다.
4. 녹화 영상 확인 및 재생
카메라 내부 저장소(SD 카드) 또는 NVR에 녹화된 영상을 모바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녹화' 또는 '재생' 메뉴에서 특정 시간대의 영상을 선택해 재생하세요. 영상 포맷은 대부분 MP4, AVI이며, 모바일 기기에서 자동 변환되어 재생됩니다. 시간 동기화 문제가 있다면 카메라의 NTP 설정을 확인하여 시간을 서버와 맞추세요. 정확한 타임스탬프는 증거 보존에 필수입니다.
5. 시스템 정보 확인
카메라의 시스템 정보(모델명, 시리얼 번호, 펌웨어/하드웨어 버전, 네트워크 정보: MAC 주소, IP 주소 등)를 모바일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기술 지원 요청 시 유용하며, 현장에서 카메라 상태를 빠르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시스템 부하(CPU/메모리 사용률, 네트워크 트래픽) 정보도 제공되어 카메라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리소스 병목 현상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6. 모바일 최적화 화면 활용
대부분의 최신 IP 카메라 인터페이스는 스마트폰/태블릿 등 모바일 화면에 최적화되어 자동으로 화면 크기와 레이아웃이 조정됩니다. 터치 기반의 직관적인 UI/UX로 현장 엔지니어가 작은 화면에서도 쉽게 조작하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반응형 웹 디자인 기술 기반이며, 웹소켓 기술로 실시간 스트리밍 및 제어 응답성을 향상시킵니다.
성능 최적화 및 유지보수 팁
  • 네트워크 대역폭 관리: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에 유의하고, 고해상도 스트리밍은 Wi-Fi 환경에서 이용하세요.
  • 정기적인 재부팅: 카메라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주기적으로 재부팅(예: 월 1회)하여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고 시스템 리소스를 최적화하세요.
  • 렌즈 청소: 카메라 렌즈를 부드러운 천으로 정기적으로 닦아 선명한 영상을 확보하세요.
  • 보안 강화: 기본 비밀번호는 반드시 복잡하게 변경하고, 펌웨어는 항상 최신 상태를 유지하며 정기적인 보안 감사를 고려하세요.

모바일 접속 시 보안 및 호환성 주의사항
  • 모바일 기기 접속은 현장에서의 신속한 점검과 모니터링에 매우 유용합니다.
  • 데이터 사용량에 주의하고, 공용 Wi-Fi보다는 암호화된 개인 Wi-Fi 또는 VPN을 통한 안전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접속하세요. 공용 Wi-Fi는 보안에 취약합니다.
  • 원격 접속 시, 방화벽에서 해당 포트(HTTP: 80/8080, RTSP: 554)를 허용해야 합니다. 불필요한 포트 개방은 피하고 강력한 비밀번호를 사용하세요. 포트 포워딩 시 특정 IP만 허용하는 등의 추가 보안 조치를 권장합니다.
  • 호환성: 이 가이드는 표준 웹 브라우저(HTML5, JavaScript 지원)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IP 카메라에 적용 가능합니다. 특정 기능은 제조사, 모델, 펌웨어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최적의 성능을 위해 최신 안드로이드 또는 iOS 기기를 권장합니다.
레코딩 설정
이벤트 트리거
이벤트 트리거 방식
카메라는 특정 신호에 반응하여 영상을 녹화할 수 있습니다. 각 트리거 방식은 다양한 산업 환경과 자동화 요구사항에 맞춰 설계되었으며, 최적의 녹화 설정을 위해 각 방식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디지털 입력
카메라의 지정된 디지털 입력 핀(예: DI1)에 5V 이상의 전압 상승 에지가 감지되면 녹화가 트리거됩니다. 이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나 산업용 센서와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물리적 신호 변화에 즉각 반응하여 신뢰성과 지연이 적습니다.
기술 사양:
작동 원리: 디지털 입력은 카메라 내부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실시간으로 전압의 '상승 에지'(낮은 전압에서 높은 전압으로의 전환)를 감지합니다. 이 신호가 감지되면 녹화 엔진이 즉시 작동하여 설정된 프리-런 및 포스트-런 시간만큼 영상을 저장합니다. 이 과정은 밀리초 단위로 제어되어 정확한 이벤트 포착을 보장합니다.
현장 적용: 생산 라인에서 제품 통과 감지, 장비 작동 시작/정지 시점 기록 등에 활용됩니다. 센서가 불량품을 감지하면 즉시 녹화를 시작하여 문제 발생 순간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속으로 움직이는 물체나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현상 기록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UDP
카메라의 UDP 포트 5002로 "TRIG" 문자열을 전송하여 녹화를 시작합니다. 이는 네트워크 기반 시스템에서 원격으로 트리거를 발생시킬 때 유용하며, 사용자 정의 애플리케이션이나 다른 네트워크 장비가 카메라의 IP 주소와 지정된 UDP 포트를 통해 명령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기술 사양:
네트워크 설정 및 방화벽 가이드:
  • 카메라의 IP 주소와 UDP 포트 5002가 네트워크 방화벽에서 인바운드(Inbound) 트래픽을 허용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 네트워크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카메라와 트리거 송신 장치 간의 직접 연결을 권장합니다.
  •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므로, 패킷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니 중요한 트리거의 경우 재전송 로직을 고려하십시오.
  •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만 사용하거나, 외부 네트워크에서 접근 시 VPN 사용을 권장합니다.
작동 원리: 카메라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지정된 UDP 포트에서 데이터그램을 수신 대기합니다. "TRIG" 문자열이 포함된 데이터그램이 수신되면, 내부 녹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녹화를 시작합니다. 이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유연한 트리거링을 가능하게 합니다. UDP 패킷 수신 시, 카메라 내부에서 데이터 무결성 검증 후 트리거 명령을 실행합니다.
현장 적용: 서버 기반 비전 시스템, SCADA 시스템 연동,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에서 이벤트 발생 시 녹화를 시작하는 데 사용됩니다. 분산된 시스템 환경에서 중앙 집중식 제어에 매우 유용합니다.
웹 인터페이스
카메라 웹 인터페이스의 상단 오른쪽에 있는 트리거 버튼을 클릭하여 수동으로 녹화를 시작합니다. 이는 현장 엔지니어가 특정 상황에서 즉각적인 녹화가 필요할 때 유용하며, 모든 최신 웹 브라우저(Chrome, Firefox, Edge 등)에서 호환됩니다.
기술 사양:
작동 원리: 웹 인터페이스에서 트리거 버튼을 클릭하면, 브라우저가 카메라의 내장 웹 서버로 HTTP 요청을 전송합니다. 이 요청은 카메라의 특정 API 엔드포인트(예: `/api/trigger`)로 매핑되어 녹화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이는 사용자 상호작용을 통한 직관적인 제어를 제공합니다. 보안 강화를 위해 HTTPS 접근을 권장하며, 사용자 인증 후 트리거가 활성화됩니다.
현장 적용: 비정상적인 상황 발생 시 수동으로 증거 영상 확보, 특정 테스트 또는 실험 과정 기록, 운영자가 직접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필요한 시점에만 녹화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복잡한 자동화 설정 없이 현장에서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한 경우에 특히 유용합니다.
녹화 기간 설정: 프리-런 & 포스트-런
녹화 기간은 프리-런(Pre-run)포스트-런(Post-run) 시간으로 구성되며, 트리거 발생 전후의 중요한 순간을 모두 포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권장 설정값 및 최적화 팁:
  • 프리-런 시간: 이벤트 발생 1~5초 전 상황을 포착합니다. 너무 길게 설정하면 불필요한 데이터가 쌓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5초가 권장됩니다. 카메라의 내부 버퍼 크기(최대 150MB)를 고려하여 설정해야 합니다.
  • 포스트-런 시간: 이벤트 발생 후 상황 전개를 충분히 기록하는 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5~10초가 권장되며, 동적인 이벤트는 더 길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총 녹화 파일 크기가 500MB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성능 최적화: 녹화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를 낮추면 더 긴 녹화 시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중요도에 따라 녹화 품질을 조절하세요. 비트레이트 설정(VBR/CBR)을 통해 파일 크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웹 인터페이스 트리거 사용 방법
웹 인터페이스를 통한 수동 트리거는 현장에서의 즉각적인 대응을 위해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다음 단계에 따라 녹화를 시작하고 확인하십시오.
트리거 버튼 클릭:
웹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상단 또는 지정된 위치의 '트리거' 또는 '녹화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버튼 클릭 즉시 녹화가 시작됩니다. HTTP/HTTPS 요청이 카메라로 전송되어 녹화 명령을 수행합니다.
녹화 확인:
버튼 클릭 후, 설정된 카운트만큼 빨간색 원이 깜박이며 녹화가 진행 중임을 시각적으로 알려줍니다. 이 깜박임은 녹화가 정상적으로 시작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이 시각적 표시는 카메라로부터의 실시간 응답을 기반으로 합니다.
녹화 영상 관리
녹화된 영상의 효율적인 관리는 시스템 안정성과 데이터 보존에 중요합니다. 시스템은 저장된 영상을 목록 형태로 제공하며, 필요한 영상만 선택적으로 재생하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
재생:
녹화된 영상 목록에서 원하는 영상 옆의 재생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영상을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하여 볼 수 있습니다. 재생 전 네트워크 대역폭과 PC 사양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트리밍 시 코덱 호환성 및 대역폭 확보가 중요하며, 다운로드 시에는 파일 용량을 고려하십시오.
삭제:
더 이상 필요 없는 영상은 휴지통 아이콘을 눌러 개별적으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대용량 파일 삭제 시 일정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삭제 명령은 카메라 내부 저장 관리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물리적 저장 매체에서 파일을 제거합니다.

데이터 관리 및 백업:
전체 영상 및 스냅샷을 지정한 하드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영상은 데이터 손실 방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로컬 저장소 또는 외부 네트워크 스토리지(NAS/SAN)에 백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스템 장애 또는 저장 장치 손상 시 백업된 데이터를 통해 복구할 수 있습니다.
유지보수 가이드라인:
  • 저장 공간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가득 차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 장기 보관이 필요한 영상은 즉시 백업하고, 불필요한 영상은 삭제하여 저장 공간을 확보합니다.
  • 저장 장치(예: SD 카드, SSD)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수명이 다한 경우 교체합니다. 특히 산업용 저장 매체는 사용 수명(TBW/P/E 사이클)을 고려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가이드: 일반적인 에러 코드
  • "저장 공간 부족" (Error Code: 0x01): 저장 공간이 거의 가득 찼거나 완전히 가득 찼을 때 발생합니다. 오래된 파일을 삭제하거나, 외부 저장 장치로 백업 후 공간을 확보하십시오. 이는 카메라의 파일 시스템 모듈에서 발생합니다.
  • "트리거 신호 미감지" (Error Code: 0x02): 디지털 입력 신호 불량, UDP 패킷 손실, 또는 웹 인터페이스 서버 미접속 시 발생합니다. 케이블 연결, 네트워크 설정(방화벽 포함), IP 주소 및 포트 번호를 확인하십시오. 내부 이벤트 대기열에 트리거가 등록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 "파일 시스템 오류" (Error Code: 0x03): 저장 장치의 파일 시스템이 손상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저장 장치를 포맷하거나 교체해야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데이터는 미리 백업하십시오. 저장 매체의 불량 섹터 또는 예기치 않은 전원 차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녹화 중단" (Error Code: 0x04): 예기치 않은 시스템 종료, 전원 부족, 또는 저장 장치 불량으로 인해 녹화가 중단된 경우입니다. 전원 공급 안정성을 확인하고, 저장 장치 상태를 점검하십시오. 이는 레코딩 엔진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호환성 정보 및 시스템 요구사항:
운영 체제
Windows 10/11, Linux (Ubuntu 20.04+), macOS 10.15+ (웹 인터페이스 접속용)
네트워크
이더넷 100/1000BASE-T, TCP/IP 프로토콜 지원
전원
안정적인 DC 12V 또는 24V 전원 공급 (정격 전류 확인)
저장 장치
최소 Class 10 이상의 산업용 SD 카드 또는 고성능 SSD 권장 (UHS-I/UHS-II 지원)
이 웹사이트는 Zovrixon(조브릭슨)이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기술 매뉴얼 라이브러리입니다.
모든 매뉴얼과 기술 자료는 운영자가 직접 창작하거나 재구성한 자료이며, 연구·학습·정보 공유 목적으로 제공됩니다.
본 자료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며, 운영자의 사전 동의 없이 상업적 이용, 무단 복제 및 배포는 금지됩니다.